서울균형발전포털

이동

DMC역 복합개발

비전 및 목표

DMC기반으로 상암수색지역 통합하는 글로벌 서북권 광역중심 육성

기존계획 검토

기존계획 검토 정보
2030 서울플랜 (2013.9월 발표) 상암·수색권역을 서울의 7대 광역중심 대규모 개발용지를 활용하여 서북지역의 광역적 고용기반 구축
2030서울플랜(2013.9월 발표)
  • 중심지 일자리
    미래산업 고용기반 확충을 통한 중심기능 강화
  • 지역 간 연계를 위한 철도망 구축
    서울과 마곡을 도시철도로 연계
  • 지역특화
    지역자원의 연계·육성을 통한 관광 활성화
상암·수색권 육성을 위한 종합발전계획 (2013.2월 발표) 산업(일자리)측면, 생활의 관점, 장소적 관점에서 3대 육성목표 설정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국제적 창조문화 중심지
상암수색권 육성을 위한 종합발전계획(2013.2월 발표)
  • 미디어 영상 및 미디어 산업
  • 서울 서북권의 광역생활 중심
  • 자연, 디지털이 융합된 국제적 문화·관광의 거점으로 구현
수색역 일대 개발 가이드라인 (2014) DMC의 디지털미디어 기능을 기반으로 상암·수색지역을 통합하는 서북권 핵심 거점 육성
수색역일대개발가이드라인(2014)
  • 지역 간 물리적, 공간적 연계 및 환승체계 개선
  • 광역 중심기능 확충 및 서북권 관문 역사로서의 전면성 확보
  • 계획의 실현성 강화
아래로향한 화살표
추진전략01. 광역 중심기능 확충
DMC기능 확장 및 육성, 복합문화관광, 중심상업시설 도입 등
추진전략 02. 지역 간 연계 활성화
입체적 보행로 조성, 도로신설을 통한 지역간 통합, 환승체계 개선 등

잠재력 및 제약요인

잠재력

  • 대규모 개발 가용부지 : 新산업 미래 먹거리 창출이 가능한 충분한 면적

  • 광역중심 성장가능한 최적입지 : DMC외연적 기능확대 시기도래 및 주변 문화관광 인프라 활용 가능

  • 서울관문 사통팔달 접근성 : 경의선, 공항철도, 6호선 등 철도 교통의 결절점 및 서북권 관문 역할 기대

개발가용지 220,342㎡, *상암 dmc(57만㎡)의 38.6% 수준

제약요인

  • 수색~상암 지역간 단절 고착화 : 철도부지를 경계로 수색과 상암이 물리적, 기능적으로 단절됨

  • 광역중심기능 부족 : 상업(판매)·문화시설 및 DMC 지원 다양한 업무시설 부족

  • 환승체계 불편 및 보행 연계성 부족 : 공항철도-경의선 환승시간 15분 소요, 주변 보행환경 열악

철도부지를 경계로 수색-상암 단절, 광영중심지별 주요 중심기능 비교, 상암~수색 지역간 격차 심화, 철도-버스 간 환승불편, 지하보행통로(토끼굴), 공항철도-경의선 dmc역 환승체계(800m)

계획방향 도출

잠재력

  • 대규모 개발 가용부지
    新산업 미래 먹거리 창출이 가능한 충분한 면적
  • 광역중심 성장가능한 최적입지
    DMC외연적 기능확대 시기도래 및 주변 문화관광 인프라 활용 가능
  • 서울관문 사통팔달 접근성
    경의선, 공항철도, 6호선 등 철도 교통의 결절점 및 서북권 관문 역할 기대
잠재력 활용
제약요인 해소
  • 수색~상암 지역간 단절 고착화
    철도부지를 경계로 수색과 상암이 물리적, 기능적으로 단절됨
  • 광역중심기능 부족
    상업(판매)·문화시설 및 DMC 지원 다양한 업무시설 부족
  • 환승체계 불편 및 보행 연계성 부족
    공항철도-경의선 환승시간 15분 소요 주변 보행환경 열악

제약요인

광역중심역할 정립지역간 연계를 최우선 계획방향으로 추진

추진현황

사업개요

사업개요 정보
위치 은평구 수색로 261 일대(철도부지)
사업규모 총319,935㎡(가용면적 : 220,342㎡)
목표연도 2030년

추진사항

  • 지구단위계획 수립

  • DMC역 사전협상 추진

대상지 현황

  • 20세기 수색은 서북지역의 주거지로, 상암은 쓰레기 매립장으로 사용

  • 21세기 수색지역은 개발 정체로 노후, 상암은 DMC개발로 국제적 디지털 미디어 특화도시로 변모

20세기 상암/수색 : 수색동 - 1930년대 철도 차량기지조성, 1949년 서울시 편입(서대문구 수색리), 1960년 천막촌 밀집지역 / 상암동 - 1908년 경의선 개통, 1949년 서울시 편입(서대문구 상암동), 1977년 쓰레기 전용 매립지로의 활용 결정, 1980년~1993년 난지도 쓰레기 전용 매립지 활용 , 21세기 상암/수색 : 수색동 - 2000년 6호선 개통/수색로 확장, 2008년 수색·증산뉴타운결정고시 현재 수색증산재정비촉진지구 변전소 부지 사업지연/수색증산재정비촉진지구 9구역 이주시작 / 상암동 - 2000년 상암새천변신도시기본계획/디지털미디어시티 기본계획, 2004년 택지공급 공고, 2013년 디지털게임 스타디움/팬택 R&D 센터 준공/DMC산학협력 연구센터 개관/상암IT타워 준공, 현재 YTN상암신사옥 준공/MBC상암신사옥 준공/상암DMC의 성공적인 개발

향후계획

  • 2023~ : 철도건설 기본계획승인 협의

  • 2024~ : 민간 사업시행자 공모(코레일) 예정

  • 2025~ : 철도시설 부지 사전협상 추진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변경불가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리부서
균형발전기획관
최종 수정일
2025-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