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배경
검색박스 닫기
  • ENGLISH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톡스토리

동북권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

비전 및 목표

창동ㆍ상계 지역은 서울뿐만 아니라 수도권 동북부의 일자리ㆍ문화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고자 하는 지역입니다.
교통체계, 보행 및 녹지체계, 공간활용 등 각 부문의 계획을 민관이 협력하여 실현하고, 지역이 가지는 공간적 파급력과 광역교통, 대규모 가용지 등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수도권 동북부의 새로운 중심지로 성장할 것입니다.
이에 따른 목표 실현을 위해 ①스마트도시 ②문화도시 ③감성도시의 3대 방향을 계획하였습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1

도입기능 구상

① 복합문화ㆍ여가기능 ② 창업육성ㆍ문화기능 ③ 복합환승기능 ④ 미래산업기반 중심기능 ⑤ 상업문화 복합지원기능을 부지별로 배분하여 일자리 기반을 마련하고 동북권 광역중심지를 구축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2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2 1
  • ① 서울 아레나
  • ② 창동민자역사
  • ③ 창동아우르네
  • ④ 복합환승센터
  • ⑤ 씨드큐브창동
  • ⑥ 복합유통센터
  • ⑦ 기반시설
  • ⑧ 혁신기업입주공간
  • ⑨ 앵커시설단지
  • ⑩ 신산업R&D센터
  • ⑪ 상업문화콤플렉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3
 
 

주요사업 추진계획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img1

서울아레나

중·대형 공연장, 영화관 및 상업시설 등 다양한 공연인프라 기반 마련을 통해 글로벌 복합문화시설을 조성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img2

씨드큐브 창동

성장형 창업기업의 엑셀러레이팅 거점으로 창동아우르네와 연계한 창업기능 지원과 문화산업 기업의 유치를 추진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img3

동북권 창업센터(서울창업허브 창동)

창업지원을 위한 산학연계, 멘토링, 협업체계 구축, 교육 등 동북권 단위의 창업지원시설을 구축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img4

동부간선도로 지하차도 건설

단절된 동서간 연계체계를 구축하고, 주변지역 교통여건 및 중랑천변 접근성 개선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지하차도를 건설하고 상부를 공원화 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img5

동서간 연계 보행교량 건설

중랑천 및 동부간선도로에 의해 단절되어 창동교로 우회하는 동선을 보완하여 창동역과 노원역을 연결하는 보행 네트워크를 신설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img6

로봇인공지능과학관

전시관, 체험관, 상영관, 부대시설 등 로봇의 역사에서부터 미래 로봇의 확장성까지 예술과 과학이 융·복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합니다.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지img7

서울 사진미술관

예술사진, 비디오, 미디어아트 등을 포괄하는 사진미술관 건립으로 아시아권의 사진문화를 하나로 묶는 중심 허브 역할 수행 및 시민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합니다.

농협 하나로마트 부지

- 광역중심 육성을 위한 쇼핑·업무·문화 등 복합기능을 도입한 복합유통센터 현대화 건립을 추진합니다.
- 오픈스페이스, 문화예술 거점과 연계하여 중심기능을 강화합니다.

창동차량기지 및 도봉면허시험장

- 창동 차량기지 이전사업(진접차량기지 건설사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사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이전 완료 이후 특화산업집적지를 조성합니다.
- 창동 차량기지 이전사업과 함께 도봉면허시험장 이전·재배치를 통하여 미래산업 클러스터, 복합상업단지 개발을 추진합니다.

페이지 내용에 만족하셨습니까? 이 의견은 만족도 확인에만 사용됩니다.